제목 | KESIC 이슈리포트 -7월호- (MDM의 시장 동향과 도입 기관의 이슈 및 대책) | ||
---|---|---|---|
작성일 | 2013.01.09 | 작성자 | KESSIA |
첨부파일 |
안녕하십니까?
임베디드SW산업협의회 사무국입니다.
임베디드SW산업협의회의회 2012년 KESIC ISSUE REPORT 7월호를 발간하고
다음과 같이 그 자료를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DM의 시장 동향과 도입 기관의 이슈 및 대책]
***저자 : ㈜안랩 전략제품개발실 전상수 차장
목차
1. 서론
2. MDM 시장 형성 조건의 이해
2.1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장
2.2 디바이스 보급의 변곡점과 변화
2.3 모바일 오피스의 확산
2.4 End-Point Management와 MDM의 비교
3. MDM의 이해
3.1 MDM의 도입 목적
3.2 MDM의 구성 요소3.3 MDM의 주요 내용
3.3.1 Software Distribution
3.3.2 Policy Management
3.3.3 Inventory Management
3.3.4 Security Management
3.3.5 Service Management
3.4 MDM에서 활용하는 기술
3.4.1 센서의 활용
3.4.2 MAP의 활용
3.4.3 API의 활용
4. MDM을 구성하는 이해관계자들
4.1 주요 사업자
4.1.1 IDC의 분류
4.1.2 Gartner의 분류
4.1.3 국내 사업자
4.2 주요 산업과 수요처
5. MDM에서 고려할 주요 이슈들
5.1 이슈 항목
5.2 관리 범위
5.2.1 플랫폼 지원 범위
5.2.2 디바이스 지원 범위
5.2.3 관리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선정
5.3 보안
5.3.1 사내 보안 정책의 수립과 적용
5.3.2 사내 보안 솔루션의 연동
5.3.3 모바일 악성코드 대응
5.3.4 분실 및 도난에 대한 대책 마련
5.3.5 단말기 센서 제어
5.3.6 Wi-Fi 보안
5.3.7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실행 제어
5.3.8 권한 상승 행위 모니터링
5.4 비용
5.4.1 단말기 구입 및 유지비용
5.4.2 월 통신비용 관리
5.4.3 사내 인프라 연동 비용
5.4.4 정보 자산 등급 및 가치 평가
5.5 안드로이드의 파편화
5.6 BYOD
5.6.1 플랫폼 지원 범위
5.6.2 디바이스 지원 범위
5.6.3 사용자 인증 방안
5.6.4 Self-Service를 위한 사용자 포탈
5.7 편의성
5.7.1 사용 편의성 제고
5.7.2 정책 설정의 자동화 수준
6. MDM 도입시 고려 사항
6.1 정보 자산 활용에 따른 고려 사항
6.1.1 정보 자산의 이용이 없는 경우
6.1.2 정보 자산의 이용 수준이 낮은 경우
6.1.3 정보 자산의 이용 수준이 높은 경우
6.2 기업과 관리 단말의 규모에 따른 고려 사항
6.3 단계별 도입 시나리오
6.3.1 MDM 도입 목적 규정
6.3.2 사내 정책 작성
6.3.3 관리 범위 설정과 솔루션 구축
7. MDM 이후에 오는 것들
※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하며,
회원사 임직원에게만 다운로드 권한이 부여됩니다.
※ 웹회원 가입은 개인별로 진행되면, 사무국에서 회원사 임직원
여부를 확인한 후 등급 조정을 해드립니다.
팩스번호 : 02-2046-1414 E-mail : embedded@fkii.org
Copyright(c) Korea Embedded Software and System Industry Associon. All Rights Reserved. Design by
way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