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는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전자부품연구원과 함께 산학연이 참여하는 '웨어러블(wearable) 스마트 디바이스 포럼'을 발족했다. 이 포럼에는 삼성과 LG 등 대기업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반도체 칩, 플랫폼을 제작하는 중소기업이 참가했으며, 전국 주요 공과대학과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및 전기연구원 등 핵심 출연연구기관도 참여한다. 전문가 50여명 규모로 구성된 이 포럼은 전문성 강화를 위해 산하에 운영위원회 및 분과위원회도 운영할 계획이다. 또 월 1회 실무회의와 분기별 정기회의로 실무 의견을 수렴하고, 기술개발, 인력양성, 제도 개선 등 웨어러블 산업 육성 전반에 대해 제언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웨어러블 산업 육성을 위해 대형 장기 연구개발(R&D) 사업을 계획, 현재 예산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되면 2015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400~700억원 규모의 예산 지원을 지원받게 된다. 현재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의료기기나 스마트 폰과 연계해 문자, 이메일 등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지만 향후 국방, 소방 등 위험 환경에서 필요한 의복이나 장구류, 또 사물간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다양한 생활문화 제품으로까지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